🗊Презентация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Нажмите для полного просмотра!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8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9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0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1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2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3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4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5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6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7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8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9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0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1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2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3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4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5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6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7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8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9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0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1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2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3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4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5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6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7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8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9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0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1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2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3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4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5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6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7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8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9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0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1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2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3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4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5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6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7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8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9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0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1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2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3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4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5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6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7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8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69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0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1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2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3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4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5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6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7

Содержание

Вы можете ознакомиться и скачать презентацию на тему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Доклад-сообщение содержит 77 слайдов. Презентации для любого класса можно скачать бесплатно. Если материал и наш сайт презентаций Mypresentation Вам понравились – поделитесь им с друзьями с помощью социальных кнопок и добавьте в закладки в своем браузере.

Слайды и текст этой презентации


Слайд 1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1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2






고전시가에 나타난 
이별의 모습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고전시가에 나타난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






공후인
님이여 그 물을 건너지 마오
님은 기어이 물을 건너고 있네
님은 마침내 물에 빠지고 마네
이 일을 님이여! 어찌 할거나.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 님이여 그 물을 건너지 마오 님은 기어이 물을 건너고 있네 님은 마침내 물에 빠지고 마네 이 일을 님이여! 어찌 할거나.

Слайд 4





공후인이라는 제목에 관하여
공후인이라는 제목에 관하여
‘공후’는 악기의 이름
공후인의 ‘인’은 악기를 연주한다는 뜻
‘공후인’이라는 시의 제목은 ‘공후라는 악기를 연주한다.’는 의미이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이라는 제목에 관하여 공후인이라는 제목에 관하여 ‘공후’는 악기의 이름 공후인의 ‘인’은 악기를 연주한다는 뜻 ‘공후인’이라는 시의 제목은 ‘공후라는 악기를 연주한다.’는 의미이다.

Слайд 5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6






「공후인」과 함께 전하는 
산문기록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과 함께 전하는 산문기록

Слайд 7





   고조선 뱃사공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은 것이다. 
   고조선 뱃사공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은 것이다. 
   자고가 새벽에 일어나 나루터에서 배를 손질하고 있는데, 난데없이 머리가 흰 미친 사람이 머리를 풀어헤친 채 술병을 끼고 거센 물결을 건너가고 있었다. 
   그 뒤에는 그의 아내가 따라가며 말리려 하였으나, 아내의 손이 미치지 못하여 이윽고 그는 강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고조선 뱃사공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은 것이다. 고조선 뱃사공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은 것이다. 자고가 새벽에 일어나 나루터에서 배를 손질하고 있는데, 난데없이 머리가 흰 미친 사람이 머리를 풀어헤친 채 술병을 끼고 거센 물결을 건너가고 있었다. 그 뒤에는 그의 아내가 따라가며 말리려 하였으나, 아내의 손이 미치지 못하여 이윽고 그는 강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Слайд 8





   이때의 그의 아내는 공후를 뜯으며 노래하니, 소리가 너무나 슬펐다.
   이때의 그의 아내는 공후를 뜯으며 노래하니, 소리가 너무나 슬펐다.
   노래가 끝나자 그 여인도 또한 강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자고가 집으로 돌아와 이러한 사연을 아내인 여옥에게 말해주니 여옥도 슬퍼하며 공후를 뜯으며 그 노래를 다시 한번 그대로 불러 보았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이때의 그의 아내는 공후를 뜯으며 노래하니, 소리가 너무나 슬펐다. 이때의 그의 아내는 공후를 뜯으며 노래하니, 소리가 너무나 슬펐다. 노래가 끝나자 그 여인도 또한 강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자고가 집으로 돌아와 이러한 사연을 아내인 여옥에게 말해주니 여옥도 슬퍼하며 공후를 뜯으며 그 노래를 다시 한번 그대로 불러 보았다.

Слайд 9





   그리하여 이 노래를 듣는 사람이면 
   그리하여 이 노래를 듣는 사람이면 
   누구나 눈물을 흘리고 울음을 삼키지 않을 수가 없었다. 
   여옥은 이 노래를 이웃에 사는 친구인 여용에게 전해주었다. 
   노래의 이름을 「공후인」이라고 하였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그리하여 이 노래를 듣는 사람이면 그리하여 이 노래를 듣는 사람이면 누구나 눈물을 흘리고 울음을 삼키지 않을 수가 없었다. 여옥은 이 노래를 이웃에 사는 친구인 여용에게 전해주었다. 노래의 이름을 「공후인」이라고 하였다.

Слайд 10






「공후인」이 지닌
문학적 의의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이 지닌 문학적 의의

Слайд 11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한국 최초의 서정시이다.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한국 최초의 서정시이다. 
   ‘물’ 또는 ‘강’이라는 매우 낯익은 소재를 중심으로 
   ‘님과의 이별’, 또는 ‘님의 죽음’을 노래한 전형적 서정시이다. 
   시에서 ‘물’ 또는 ‘강’은 많은 이별가의 시적 대상이 되어왔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한국 최초의 서정시이다. 이별의 슬픔을 노래한 한국 최초의 서정시이다. ‘물’ 또는 ‘강’이라는 매우 낯익은 소재를 중심으로 ‘님과의 이별’, 또는 ‘님의 죽음’을 노래한 전형적 서정시이다. 시에서 ‘물’ 또는 ‘강’은 많은 이별가의 시적 대상이 되어왔다.

Слайд 12





   ‘강’이란 공간적으로 보면, 이곳과 저곳을 갈라놓은 단절의 한 구체적인 대상이다. 
   ‘강’이란 공간적으로 보면, 이곳과 저곳을 갈라놓은 단절의 한 구체적인 대상이다. 
   그러므로 강은 인간의 내면적 심리의 면으로 본다면
   이곳과 저곳으로 갈라놓는, 건널 수 없는 좌절의 구체적 대상이 된다. 
   그러나 늘 인간에 의해서 언제나 건너야만 하는 숙명의 대상이기도 하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강’이란 공간적으로 보면, 이곳과 저곳을 갈라놓은 단절의 한 구체적인 대상이다. ‘강’이란 공간적으로 보면, 이곳과 저곳을 갈라놓은 단절의 한 구체적인 대상이다. 그러므로 강은 인간의 내면적 심리의 면으로 본다면 이곳과 저곳으로 갈라놓는, 건널 수 없는 좌절의 구체적 대상이 된다. 그러나 늘 인간에 의해서 언제나 건너야만 하는 숙명의 대상이기도 하다.

Слайд 13





강(물)
강(물)
   이곳과 저곳으로 갈라놓은 단절의 모습 
   건널 수 없는 좌절의 구체적 대상이며 
   동시에 언제에는 건너야만 하는 숙명의 대상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강(물) 강(물) 이곳과 저곳으로 갈라놓은 단절의 모습 건널 수 없는 좌절의 구체적 대상이며 동시에 언제에는 건너야만 하는 숙명의 대상

Слайд 14





  따라서 인간이 지니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의 대상이 바로 ‘물’이며 ‘강’이다. 
  따라서 인간이 지니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의 대상이 바로 ‘물’이며 ‘강’이다. 
   ‘흰머리의 미친 노인’이 강을 건너고자 물로 뛰어들어갔다는 것은 바로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의 표현이라고 볼 수가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따라서 인간이 지니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의 대상이 바로 ‘물’이며 ‘강’이다. 따라서 인간이 지니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의 대상이 바로 ‘물’이며 ‘강’이다. ‘흰머리의 미친 노인’이 강을 건너고자 물로 뛰어들어갔다는 것은 바로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의 표현이라고 볼 수가 있다.

Слайд 15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에는 늘 위험이 따르게 마련이다.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에는 늘 위험이 따르게 마련이다. 
   이 위험의 구체적인 모습이 흰 머리의 미친 노인이 물에 빠져 죽은 현실로 나타나고 만 것이다. 
   이러한 위험을 알기 때문에 그 부인이 못 건너게 말린 것이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에는 늘 위험이 따르게 마련이다. ‘현실적인 한계와 질서를 뛰어넘고 또 초월하고자 하는’ 내적 욕구에는 늘 위험이 따르게 마련이다. 이 위험의 구체적인 모습이 흰 머리의 미친 노인이 물에 빠져 죽은 현실로 나타나고 만 것이다. 이러한 위험을 알기 때문에 그 부인이 못 건너게 말린 것이다.

Слайд 16






님이여 그 물을 건너지 마오
님은 기어이 물을 건너고 있네
님은 마침내 강에 빠지고 마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님이여 그 물을 건너지 마오 님은 기어이 물을 건너고 있네 님은 마침내 강에 빠지고 마네

Слайд 17





   강을 건너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모험이며 새로운 삶에의 도전이다.
   강을 건너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모험이며 새로운 삶에의 도전이다.
   그러나 현실의 이쪽에 있는 사람에게는 돌이킬 수 없는 이별이며 슬픔이다.
   「공후인」은 건너 보내는 사람의 입장에 서서 부른 노래이다. 
   강을 건너 보내는, 또는 강에 빠져 죽는 아픔을 겪어야 하는 이별의 노래가 된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강을 건너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모험이며 새로운 삶에의 도전이다. 강을 건너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모험이며 새로운 삶에의 도전이다. 그러나 현실의 이쪽에 있는 사람에게는 돌이킬 수 없는 이별이며 슬픔이다. 「공후인」은 건너 보내는 사람의 입장에 서서 부른 노래이다. 강을 건너 보내는, 또는 강에 빠져 죽는 아픔을 겪어야 하는 이별의 노래가 된다.

Слайд 18





   이 일을 님이여! 어찌 할거나. 
   이 일을 님이여! 어찌 할거나. 
   ‘탄식의 소리’에 
   이별의 아픔, 사랑하는 님의 죽음을 맞아야 하는 
   아픔이 진하게 담겨져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이 일을 님이여! 어찌 할거나. 이 일을 님이여! 어찌 할거나. ‘탄식의 소리’에 이별의 아픔, 사랑하는 님의 죽음을 맞아야 하는 아픔이 진하게 담겨져 있다.

Слайд 19






「공후인」의 주제
 비극적 ‘한(恨)’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의 주제 비극적 ‘한(恨)’

Слайд 20





   「공후인」은 지극히 한국적 서정의 원천인 
   「공후인」은 지극히 한국적 서정의 원천인 
   ‘한(恨)’을 바탕으로 한 서정시이다. 
   ‘한’은 하고 싶은 욕구와 이룩될 수 없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므로 해서 일어나는 정서이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은 지극히 한국적 서정의 원천인 「공후인」은 지극히 한국적 서정의 원천인 ‘한(恨)’을 바탕으로 한 서정시이다. ‘한’은 하고 싶은 욕구와 이룩될 수 없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므로 해서 일어나는 정서이다.

Слайд 21





   「공후인」은 첫구절에서부터 이러한 한의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공후인」은 첫구절에서부터 이러한 한의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님은 물을 건너지 마오
   그러나 마침내 님은 물을 건너네 
   물을 건너지 말라는 애원에도 불구하고 님은 마침내 물을 건너고 만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은 첫구절에서부터 이러한 한의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공후인」은 첫구절에서부터 이러한 한의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님은 물을 건너지 마오 그러나 마침내 님은 물을 건너네 물을 건너지 말라는 애원에도 불구하고 님은 마침내 물을 건너고 만다.

Слайд 22





   ‘물을 건너지 마라’는 만류와 기어이 ‘물을 건너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며 
   ‘물을 건너지 마라’는 만류와 기어이 ‘물을 건너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며 
   일으키는 비극적 상황이 이 시의 전반적 상황이다.  
   ‘건너는 님’과 ‘건너지 못하게 하는 만류’가 서로 부딪치므로 생성되는 안타까운 절규로 시작이 된다. 
   이 안타까운 절규 속에 바로 ‘한(恨)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물을 건너지 마라’는 만류와 기어이 ‘물을 건너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며 ‘물을 건너지 마라’는 만류와 기어이 ‘물을 건너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며 일으키는 비극적 상황이 이 시의 전반적 상황이다. ‘건너는 님’과 ‘건너지 못하게 하는 만류’가 서로 부딪치므로 생성되는 안타까운 절규로 시작이 된다. 이 안타까운 절규 속에 바로 ‘한(恨)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Слайд 23





   물을 건너는 ‘님’이 이내 죽음을 맞게 되므로
   물을 건너는 ‘님’이 이내 죽음을 맞게 되므로
   이러한 ‘한’ 의 정서는 더욱 강하게 시 전반을 지배하게 된다. 
   그러나 마침내 님은 물을 건너네
  님은 마침내 물에 빠지고 마네
   현실의 이쪽에서 강의 저쪽으로 보낸다는 것은 곧 이별이며 죽음이 된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물을 건너는 ‘님’이 이내 죽음을 맞게 되므로 물을 건너는 ‘님’이 이내 죽음을 맞게 되므로 이러한 ‘한’ 의 정서는 더욱 강하게 시 전반을 지배하게 된다. 그러나 마침내 님은 물을 건너네 님은 마침내 물에 빠지고 마네 현실의 이쪽에서 강의 저쪽으로 보낸다는 것은 곧 이별이며 죽음이 된다.

Слайд 24





   이 시에서 이별과 죽음은 같은 차원이다. 
   이 시에서 이별과 죽음은 같은 차원이다. 
   사랑하는 님이 물에 빠져 죽었든, 혹은 강을 아주 건너가 버렸든 
   이곳 현실에서 볼 때에는, 남게 되는 것은 떠나 보낸 ‘한’, 바로 그것이 된다. 
   그러나 이 노래는 ‘님의 익사’에 이르러 그 비극적 절정에 이르게 된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이 시에서 이별과 죽음은 같은 차원이다. 이 시에서 이별과 죽음은 같은 차원이다. 사랑하는 님이 물에 빠져 죽었든, 혹은 강을 아주 건너가 버렸든 이곳 현실에서 볼 때에는, 남게 되는 것은 떠나 보낸 ‘한’, 바로 그것이 된다. 그러나 이 노래는 ‘님의 익사’에 이르러 그 비극적 절정에 이르게 된다.

Слайд 25





비극적 정서의 절정으로 인하여 
비극적 정서의 절정으로 인하여 
현실의 앞을 가로 막고 흐르는 물과 같이, 그 물의 깊이와 같이 
전반의 ‘한(恨)’은 후반에 이르러
더욱 깊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비극적 정서의 절정으로 인하여 비극적 정서의 절정으로 인하여 현실의 앞을 가로 막고 흐르는 물과 같이, 그 물의 깊이와 같이 전반의 ‘한(恨)’은 후반에 이르러 더욱 깊이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Слайд 26





「공후인」
「공후인」
이 시는 오직 한 사람만의 님을 따르겠다는 정절의 마음을 지닌 
한국 여성의 ‘한(恨)’을 노래한 
그 첫 번째 작품으로 문학사적인 의의를 지닌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 「공후인」 이 시는 오직 한 사람만의 님을 따르겠다는 정절의 마음을 지닌 한국 여성의 ‘한(恨)’을 노래한 그 첫 번째 작품으로 문학사적인 의의를 지닌다.

Слайд 27





가시리
가시리
가시겠습니까, 가시겠습니까.
나를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나는 어떻게 살라고
버리고 가시는 겁니까.
잡아두고 싶지마는
서운하면 안 오실 것 같아
서러운 님 보내오니
가시는 듯 돌아 오십시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가시리 가시리 가시겠습니까, 가시겠습니까. 나를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나는 어떻게 살라고 버리고 가시는 겁니까. 잡아두고 싶지마는 서운하면 안 오실 것 같아 서러운 님 보내오니 가시는 듯 돌아 오십시오.

Слайд 28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28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29






각 단락의 주제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각 단락의 주제

Слайд 30






    가시겠습니까, 가시겠습니까.
   나를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사랑하는 님을 떠나 보내야 하는 안타까운 심정, 슬픔 등이 나타나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가시겠습니까, 가시겠습니까. 나를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사랑하는 님을 떠나 보내야 하는 안타까운 심정, 슬픔 등이 나타나 있다.

Слайд 31






    나는 어떻게 살라고
   버리고 가시는 겁니까.
   버림을 받고 난 이후의 외로운 삶, 또는 그러한 삶에 대한 두려운 심정이 표현되어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나는 어떻게 살라고 버리고 가시는 겁니까. 버림을 받고 난 이후의 외로운 삶, 또는 그러한 삶에 대한 두려운 심정이 표현되어 있다.

Слайд 32






    잡아두고 싶지마는
   서운하면 안 오실 것 같아
   떠나는 님을 가지 말라고 잡고 싶어도, 님의 마음이 상할까 두려워, 붙잡지도 못하는 여인의 마음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잡아두고 싶지마는 서운하면 안 오실 것 같아 떠나는 님을 가지 말라고 잡고 싶어도, 님의 마음이 상할까 두려워, 붙잡지도 못하는 여인의 마음

Слайд 33






    서러운 님 보내오니
   가시는 듯 돌아 오십시오.
   홀연히 떠난 님이 이내 곧 가시는 듯 돌아오기만을 애처롭게 호소하는 모습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서러운 님 보내오니 가시는 듯 돌아 오십시오. 홀연히 떠난 님이 이내 곧 가시는 듯 돌아오기만을 애처롭게 호소하는 모습

Слайд 34






「가시리」의 시적 주제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가시리」의 시적 주제

Слайд 35





   떠나보내고 싶지 않은 마음과 떠나 보내야 하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므로 일어나는 아픔
   떠나보내고 싶지 않은 마음과 떠나 보내야 하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므로 일어나는 아픔
   ‘한(恨)’의 정조가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특히 떠나는 님을 붙들고 싶은데, 붙드는 그 사실로 인하여 사랑하는 님이 귀찮아 할까 보아 
   붙들지도 못하고 그냥 보내야 하는 애절함이 담겨져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떠나보내고 싶지 않은 마음과 떠나 보내야 하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므로 일어나는 아픔 떠나보내고 싶지 않은 마음과 떠나 보내야 하는 현실이 서로 부딪치므로 일어나는 아픔 ‘한(恨)’의 정조가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특히 떠나는 님을 붙들고 싶은데, 붙드는 그 사실로 인하여 사랑하는 님이 귀찮아 할까 보아 붙들지도 못하고 그냥 보내야 하는 애절함이 담겨져 있다.

Слайд 36






공후인과 가시리를 통해 본 
이별의 모습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과 가시리를 통해 본 이별의 모습

Слайд 37





   옛날 한국의 여성들은 이렇듯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이나 행동을 참아가며 살아왔다. 
   옛날 한국의 여성들은 이렇듯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이나 행동을 참아가며 살아왔다. 
   특히 그리움이라든가, 슬픔이라든가, 기쁨이라든가 하는 감정을 절제하며 
   잘 드러내지 못하고 사는 것이 한국의 여성들이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옛날 한국의 여성들은 이렇듯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이나 행동을 참아가며 살아왔다. 옛날 한국의 여성들은 이렇듯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이나 행동을 참아가며 살아왔다. 특히 그리움이라든가, 슬픔이라든가, 기쁨이라든가 하는 감정을 절제하며 잘 드러내지 못하고 사는 것이 한국의 여성들이었다.

Слайд 38





   드러내야 할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고 억지로 누르게 되므로 해서 생겨나는 것이 
   드러내야 할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고 억지로 누르게 되므로 해서 생겨나는 것이 
   한국 여성의 정서를 가장 잘 대변하는 바로 ‘한(恨)’이라는 정서이다. 
   고려의 어느 여인이 부른 노래인 「가시리」 역시 이러한 ‘한(恨)’의 정서가 잘 나타나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드러내야 할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고 억지로 누르게 되므로 해서 생겨나는 것이 드러내야 할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고 억지로 누르게 되므로 해서 생겨나는 것이 한국 여성의 정서를 가장 잘 대변하는 바로 ‘한(恨)’이라는 정서이다. 고려의 어느 여인이 부른 노래인 「가시리」 역시 이러한 ‘한(恨)’의 정서가 잘 나타나 있다.

Слайд 39





그래서 떠나는 님을 가지 말라고 붙들고 싶어도
그래서 떠나는 님을 가지 말라고 붙들고 싶어도
이 붙드는 행위가 귀찮고 또 싫어서 돌아오지 않을까 하여
다만 붙들지도 못하고 마음 속으로 ‘가시는 듯 이내 돌아오기만을 기원’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그래서 떠나는 님을 가지 말라고 붙들고 싶어도 그래서 떠나는 님을 가지 말라고 붙들고 싶어도 이 붙드는 행위가 귀찮고 또 싫어서 돌아오지 않을까 하여 다만 붙들지도 못하고 마음 속으로 ‘가시는 듯 이내 돌아오기만을 기원’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Слайд 40





   「가시리」보다 윗 시대인 고조선의 한 여인이 부른 「공후인」 또한 물을 건너다 빠져 죽은 
   「가시리」보다 윗 시대인 고조선의 한 여인이 부른 「공후인」 또한 물을 건너다 빠져 죽은 
   남편의 뒤를 따라서 같이 물에 빠져 죽는 모습에서 
   죽음까지도 두려워하지 않고 한 남자에 순종하는 한국 여성의 모습을 발견한다. 
   따라서 「가시리」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가시리」보다 윗 시대인 고조선의 한 여인이 부른 「공후인」 또한 물을 건너다 빠져 죽은 「가시리」보다 윗 시대인 고조선의 한 여인이 부른 「공후인」 또한 물을 건너다 빠져 죽은 남편의 뒤를 따라서 같이 물에 빠져 죽는 모습에서 죽음까지도 두려워하지 않고 한 남자에 순종하는 한국 여성의 모습을 발견한다. 따라서 「가시리」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Слайд 41





옛 한국의 여성들은 「공후인」이나 「가시리」와 같이
옛 한국의 여성들은 「공후인」이나 「가시리」와 같이
자신을 희생하고, 또 자신의 정서를 드러내지 않고 살았다.
또 자신을 들어내지 않는다거나,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 
여성이 지녀야 하는 중요한 ‘미덕(美德)’이라고 가르쳤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옛 한국의 여성들은 「공후인」이나 「가시리」와 같이 옛 한국의 여성들은 「공후인」이나 「가시리」와 같이 자신을 희생하고, 또 자신의 정서를 드러내지 않고 살았다. 또 자신을 들어내지 않는다거나,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 여성이 지녀야 하는 중요한 ‘미덕(美德)’이라고 가르쳤다

Слайд 42





   그러므로 이별의 노래에는 비로 이와 같은 ‘한(恨)’이 중요한 정서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별의 노래에는 비로 이와 같은 ‘한(恨)’이 중요한 정서가 되었다. 
한(恨) 
한국시에 나타나는 중요한
사랑과 이별의 모습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그러므로 이별의 노래에는 비로 이와 같은 ‘한(恨)’이 중요한 정서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별의 노래에는 비로 이와 같은 ‘한(恨)’이 중요한 정서가 되었다. 한(恨) 한국시에 나타나는 중요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3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4





진달래꽃
진달래꽃
김소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진달래꽃 진달래꽃 김소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Слайд 45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Слайд 46





   김소월의 본명은 김정식
   김소월의 본명은 김정식
   1902년에 태어나 1934년에 작고
   1922년 『개벽』이라는 잡지에 「진달래꽃」이라는 시를 발표하여, 독자들로부터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이후 한국의 대표적인 서정시로 애송되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김소월의 본명은 김정식 김소월의 본명은 김정식 1902년에 태어나 1934년에 작고 1922년 『개벽』이라는 잡지에 「진달래꽃」이라는 시를 발표하여, 독자들로부터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이후 한국의 대표적인 서정시로 애송되었다.

Слайд 47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7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48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8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49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49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50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0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51






진달래꽃의 내용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진달래꽃의 내용

Слайд 52





   내가 싫어서 나를 버리고 떠나가는 님에게
   내가 싫어서 나를 버리고 떠나가는 님에게
   그 님이 가시는 길에 진달래꽃을 한 아름 따다가는 뿌려 들리겠다.
   그러니 내가 뿌려준 이 진달래꽃을 밟고 가라고 노래하고 있다. 
   그리고는 떠나 보내는 마음은 아파도 결코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내가 싫어서 나를 버리고 떠나가는 님에게 내가 싫어서 나를 버리고 떠나가는 님에게 그 님이 가시는 길에 진달래꽃을 한 아름 따다가는 뿌려 들리겠다. 그러니 내가 뿌려준 이 진달래꽃을 밟고 가라고 노래하고 있다. 그리고는 떠나 보내는 마음은 아파도 결코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

Слайд 53





   진달래꽃은 봄이면 한국의 산천에 지천으로 피는 꽃이다. 
   진달래꽃은 봄이면 한국의 산천에 지천으로 피는 꽃이다. 
   짙은 붉은 빛을 띠고 있어 진달래꽃이 피면
   마치 산과 들이 온통 불에 타는 것과 같이 보인다.
   진달래꽃은 흔한 꽃이지만 선정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꽃이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진달래꽃은 봄이면 한국의 산천에 지천으로 피는 꽃이다. 진달래꽃은 봄이면 한국의 산천에 지천으로 피는 꽃이다. 짙은 붉은 빛을 띠고 있어 진달래꽃이 피면 마치 산과 들이 온통 불에 타는 것과 같이 보인다. 진달래꽃은 흔한 꽃이지만 선정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꽃이다.

Слайд 54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4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55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5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56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6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57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57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Слайд 58





 김소월의 「진달래꽃」이라는 시에서 
 김소월의 「진달래꽃」이라는 시에서 
  ‘진달래꽃’은 어떤 시적 의미를 지니는가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김소월의 「진달래꽃」이라는 시에서 김소월의 「진달래꽃」이라는 시에서 ‘진달래꽃’은 어떤 시적 의미를 지니는가

Слайд 59





   내가 싫증이 나고 또 나를 보기가 싫어서 나를 떠나는 
   내가 싫증이 나고 또 나를 보기가 싫어서 나를 떠나는 
   그 님의 가시는 그 길에 뿌리는 한 아름의 진달래꽃은 
   결국 떠나 보내는 사람의 아픔 이별의 마음이 된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내가 싫증이 나고 또 나를 보기가 싫어서 나를 떠나는 내가 싫증이 나고 또 나를 보기가 싫어서 나를 떠나는 그 님의 가시는 그 길에 뿌리는 한 아름의 진달래꽃은 결국 떠나 보내는 사람의 아픔 이별의 마음이 된다.

Слайд 60





   진달래꽃이 지닌 ‘짙은 붉은 빛’이 김소월이라는 시인에 의하여 바로 ‘이별의 아픔’으로 표현이 된 것이다. 
   진달래꽃이 지닌 ‘짙은 붉은 빛’이 김소월이라는 시인에 의하여 바로 ‘이별의 아픔’으로 표현이 된 것이다. 
   ‘짙은 붉음과 아픔’은 서로 공통점이 있다. 
   ‘아픔을 붉은 빛’으로 이야기할 수 있고
   나아가 ‘짙은 빛은 아픔의 강도’를 더욱 강하게 높이는 효과를 지닌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진달래꽃이 지닌 ‘짙은 붉은 빛’이 김소월이라는 시인에 의하여 바로 ‘이별의 아픔’으로 표현이 된 것이다. 진달래꽃이 지닌 ‘짙은 붉은 빛’이 김소월이라는 시인에 의하여 바로 ‘이별의 아픔’으로 표현이 된 것이다. ‘짙은 붉음과 아픔’은 서로 공통점이 있다. ‘아픔을 붉은 빛’으로 이야기할 수 있고 나아가 ‘짙은 빛은 아픔의 강도’를 더욱 강하게 높이는 효과를 지닌다.

Слайд 61





진달래꽃
진달래꽃
  이별의 아픔 마음을 상징하는 중요한 시적 제재로 이 시에 쓰였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진달래꽃 진달래꽃 이별의 아픔 마음을 상징하는 중요한 시적 제재로 이 시에 쓰였다.

Слайд 62





   나 보기가 역겨워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나를 보기가 싫어서 간다는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만약에 내가 싫어서 떠나간다면, 아무 말도 않고 그냥 보내주겠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나 보기가 역겨워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나를 보기가 싫어서 간다는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만약에 내가 싫어서 떠나간다면, 아무 말도 않고 그냥 보내주겠다.

Слайд 63





   영변에 약산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영변은 한국 평안북도에 있는 지명이다. 김소월의 고향인 정주와 가깝다. 약산의 절벽에 핀 진달래가 명물이다. 
   이 진달래꽃을 한 아름 따다가 떠나가는 님의 그 길에다 뿌려드리겠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영변에 약산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영변은 한국 평안북도에 있는 지명이다. 김소월의 고향인 정주와 가깝다. 약산의 절벽에 핀 진달래가 명물이다. 이 진달래꽃을 한 아름 따다가 떠나가는 님의 그 길에다 뿌려드리겠다.

Слайд 64





    가시는 걸음 걸음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지)려밟고 가시옵소서.
   떠날 때 뿌려드리는 이 진달래꽃은 바로 사랑하는 마음이며, 떠나 보내는 아픔이다
   이 내 마음인 진달래꽃을 밟고 가라. 
   아픈 마음이지만 아름다운 꽃이 되어 가는 길에 뿌려드리니 이 꽃길을 밟고 가라.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가시는 걸음 걸음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지)려밟고 가시옵소서. 떠날 때 뿌려드리는 이 진달래꽃은 바로 사랑하는 마음이며, 떠나 보내는 아픔이다 이 내 마음인 진달래꽃을 밟고 가라. 아픈 마음이지만 아름다운 꽃이 되어 가는 길에 뿌려드리니 이 꽃길을 밟고 가라.

Слайд 65





   나 보기가 역겨워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내가 싫어서 당신이 떠난다면 나는 아무리 마음이 아파도 결코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는 역설을 담고 있다. 
   따라서 이 역설 속에는 아픔과 슬픔이 더 강하게 담겨져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나 보기가 역겨워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내가 싫어서 당신이 떠난다면 나는 아무리 마음이 아파도 결코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는 역설을 담고 있다. 따라서 이 역설 속에는 아픔과 슬픔이 더 강하게 담겨져 있다.

Слайд 66





「진달래꽃」이라는 시에는 
「진달래꽃」이라는 시에는 
   사랑하는 사람을 위하여 떠나 보내는 아픔까지도 참고 견디는 인종(忍從)
   그리고 자신의 아픈 마음을 아름다운 꽃으로 바꾸어 가시는 길에 뿌려드리는 자기희생(自己犧牲)
   떠나는 님에게 밟히어도 결코 울지 않겠다는 헌신(獻身)과 순종(順從)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진달래꽃」이라는 시에는 「진달래꽃」이라는 시에는 사랑하는 사람을 위하여 떠나 보내는 아픔까지도 참고 견디는 인종(忍從) 그리고 자신의 아픈 마음을 아름다운 꽃으로 바꾸어 가시는 길에 뿌려드리는 자기희생(自己犧牲) 떠나는 님에게 밟히어도 결코 울지 않겠다는 헌신(獻身)과 순종(順從)

Слайд 67





   진달래꽃은 가시는 걸음걸음 마다 뿌려지는 ‘순연한 사랑의 마음’이 된다. 
   진달래꽃은 가시는 걸음걸음 마다 뿌려지는 ‘순연한 사랑의 마음’이 된다. 
   그런가 하면 가시는 길에 위에 뿌려져서 ‘지려 밟히는 헌신과 순종’으로
   그러므로 이 밟히는 아픔마저도 감내해야 하는 ‘순연하고 또 처연한 사랑’으로 바꾸므로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진달래꽃은 가시는 걸음걸음 마다 뿌려지는 ‘순연한 사랑의 마음’이 된다. 진달래꽃은 가시는 걸음걸음 마다 뿌려지는 ‘순연한 사랑의 마음’이 된다. 그런가 하면 가시는 길에 위에 뿌려져서 ‘지려 밟히는 헌신과 순종’으로 그러므로 이 밟히는 아픔마저도 감내해야 하는 ‘순연하고 또 처연한 사랑’으로 바꾸므로

Слайд 68





   진달래꽃을 통한 보다 강도 높은 사랑, 그리고 이별의 아픔
   진달래꽃을 통한 보다 강도 높은 사랑, 그리고 이별의 아픔
   그 아픔을 통한 아름다움을 우리에게 체험시키고 있다. 
   이때 단순하게 ‘이별의 아픔’으로만 끝이 났다면
   이 시가가 주는 감동은 미미했을 것이다.
   그러나 ‘뿌려지는 마음’으로 이를 확대시키므로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진달래꽃을 통한 보다 강도 높은 사랑, 그리고 이별의 아픔 진달래꽃을 통한 보다 강도 높은 사랑, 그리고 이별의 아픔 그 아픔을 통한 아름다움을 우리에게 체험시키고 있다. 이때 단순하게 ‘이별의 아픔’으로만 끝이 났다면 이 시가가 주는 감동은 미미했을 것이다. 그러나 ‘뿌려지는 마음’으로 이를 확대시키므로

Слайд 69





   보다 처연한 감동으로 이끌고 있으며
   보다 처연한 감동으로 이끌고 있으며
   나아가 밟히는 고통마저도 감내해야 한다는 ‘처연한 사랑의 인내’로 끌어가므로 해서 
   단순한 ‘이별의 아픔’을 ‘사랑은 어떠한 고통이나 굴욕도 감내해야 한다는’
   지고(至高)의 사랑으로 이끌어내고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보다 처연한 감동으로 이끌고 있으며 보다 처연한 감동으로 이끌고 있으며 나아가 밟히는 고통마저도 감내해야 한다는 ‘처연한 사랑의 인내’로 끌어가므로 해서 단순한 ‘이별의 아픔’을 ‘사랑은 어떠한 고통이나 굴욕도 감내해야 한다는’ 지고(至高)의 사랑으로 이끌어내고 있다.

Слайд 70





   이와 같은 부분에서 ‘진달래꽃’은 단순히 산과 들에 피는 그 꽃이 아니라
   이와 같은 부분에서 ‘진달래꽃’은 단순히 산과 들에 피는 그 꽃이 아니라
   어떠한 아픔과 시련 속에서도, 이를  감내하고 또 헌신적인 삶을 견지해야 한다는 
   한국적 한(恨)의 정조를 드러내주는 실체로 자리하게 된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이와 같은 부분에서 ‘진달래꽃’은 단순히 산과 들에 피는 그 꽃이 아니라 이와 같은 부분에서 ‘진달래꽃’은 단순히 산과 들에 피는 그 꽃이 아니라 어떠한 아픔과 시련 속에서도, 이를 감내하고 또 헌신적인 삶을 견지해야 한다는 한국적 한(恨)의 정조를 드러내주는 실체로 자리하게 된다.

Слайд 71





   이러한 진달래꽃이 바로 시인이 겪은 삶, 그 삶의 진실한 삶이 부여된
   이러한 진달래꽃이 바로 시인이 겪은 삶, 그 삶의 진실한 삶이 부여된
  그러므로 새로운 가치, 곧 지고한 사랑으로 태어나므로, 김소월만의 ‘진달래꽃’이 되는 것이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이러한 진달래꽃이 바로 시인이 겪은 삶, 그 삶의 진실한 삶이 부여된 이러한 진달래꽃이 바로 시인이 겪은 삶, 그 삶의 진실한 삶이 부여된 그러므로 새로운 가치, 곧 지고한 사랑으로 태어나므로, 김소월만의 ‘진달래꽃’이 되는 것이다.

Слайд 72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한국시에 나타난 사랑과 이별의 모습

Слайд 73





 「진달래꽃」이라는 시가 지닌 이와 같은 정서는 
 「진달래꽃」이라는 시가 지닌 이와 같은 정서는 
  앞에서 이야기한 옛날 시인 「공후인」이나 「가시리」가 지니고 있는 
  ‘한(恨)’의 정서와 같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진달래꽃」이라는 시가 지닌 이와 같은 정서는 「진달래꽃」이라는 시가 지닌 이와 같은 정서는 앞에서 이야기한 옛날 시인 「공후인」이나 「가시리」가 지니고 있는 ‘한(恨)’의 정서와 같다.

Слайд 74





   「공후인」이나 「가시리」, 「진달래꽃」 등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공후인」이나 「가시리」, 「진달래꽃」 등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랑의 모습은 지극히 헌신적이며, 순종적이다. 
   또한 사랑의 끝에 맞이하는 이별의 모습은 인고(忍苦) 속에서 생성되는 한(恨)이라는 정서임을 알 수가 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공후인」이나 「가시리」, 「진달래꽃」 등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공후인」이나 「가시리」, 「진달래꽃」 등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랑의 모습은 지극히 헌신적이며, 순종적이다. 또한 사랑의 끝에 맞이하는 이별의 모습은 인고(忍苦) 속에서 생성되는 한(恨)이라는 정서임을 알 수가 있다.

Слайд 75





한국시에 나타나는
한국시에 나타나는
사랑의 모습
↓
헌신과 순종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한국시에 나타나는 한국시에 나타나는 사랑의 모습 ↓ 헌신과 순종

Слайд 76





한국시에 나타나는
한국시에 나타나는
이별의 모습
↓
인고와  한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한국시에 나타나는 한국시에 나타나는 이별의 모습 ↓ 인고와 한

Слайд 77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Описание слайда: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Похожие презентации
Mypresentation.ru
Загрузить презентацию